- • 국내최초 PPI제제 국산 14호 신약 『놀텍 정』(일라프라졸).
- • 『놀텍 정』은 PPI(Proton Pump Inhibitor)제제로 다국가 임상을 실시했으며, 중국시장 첫 발매 이후 두 번째로 국내발매.
- • 미국/ EU/ 중국/ 일본 등 전세계적으로 물질특허를 등록하여 지적재산권 확보
- • 역류성 식도염 적응증 추가 완료로 점유율 및 매출확대
국산 14호 신약 항궤양제 “놀텍”의 특장점
- - 전 세계 PPIs중 유일한 3세대 PPI 치료제로 가장 강력한 위산분비 억제력
- - PH>4.0 장시간 지속 효과로 야간 가슴쓰림(Heartburn) 증상 완화에 탁월
- - 기존 PPI보다 중증 역류성식도염에 우수한 효능ᆞ효과
- - 기존 PPI와 차별된 비효소 대사로 약효 개인차 및 매우 낮은 약물상호작용
- - 1,2세대 PPI 치료제들 보다 4배 이상 긴 반감기(Half life t1/2)
- - 뛰어난 약물 지속시간 및 초기 치료율에 강한 놀텍
국산 14호 신약 놀텍 개발을 시작한 것은 서울 88 올림픽이 열리기 전인 1987년으로 20년 이상의 시간과 노력의 결실로 탄생된 신약이다. 1992년 과학기술부
선도기술 개발 사업(G7프로젝트)과 1998년 보건복지부 신약개발 과제 선정 등 굴직한 국책지원 사업의 하나로 끊임없는 연구개발을 진행해 온 놀텍은 국산 14호
신약으로 출시전부터 효능에 대한 많은 관심을 불러 일으켰다. 그 결과 놀텍은 시판 중에 있는 PPI제제 중 가장 강력한 위산 분비억제력을 보이며, 1일 1회 복용으로
지속적인 효과를 보여 탁월한 효능을 입증하고 있다. 놀텍은 역류성 식도염 적응증 추가로 소화성 궤양시장의 점유율 및 매출이 큰 폭으로 상승하고 있다. 전체 항궤양
시장 중 80% 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역류성 식도염 시장은 발병수치 증가와 1년내 재발률 또한 80%에 달해 지속적인 유지치료를 요하는 시장이다. 위궤양 및
십이지장궤양 치료제가 주류였던 한국 및 동남아시장이 역류성식도염 환자 주류로 역전되면서 시장성이 큰 폭으로 증가하여 놀텍의 가치는 국내는 물론 동남아와 세계시장으로
넓힐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6,000 억 소화성 시장 진출 - 『놀텍』
역류성 식도염 적응증 추가로 PPI제제의 80%에 달하는 시장에 뛰어 든 놀텍은 400억 매출시장에서 약 6,000억 소화성 궤양시장에 들어서게 된 것이다. 이에 따라, PPI의 제제 중 가장 월등한 약효와 지속성을 갖춘 놀텍은 역류성 식도염 적응증 추가만으로도 기존 메이저 품목의 매출과 발을 맞출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놀텍, 공신력 있는 국제논문 연속등재 - 현재 PPIs 의 한계점을 극복한 유일한 3세대 PPI 제제 결론
영국 SCI급 논문 “Expert Opinion”에서 “The pharmacokinetics of ilaprazole for gastro-esophageal reflux treatment” 제목으로 경쟁 약물들과 약효를 비교한 항궤양제 놀텍은 강력한 위산 분비억제력으로 뛰어난 위내 pH상승효과를 보이며, 위내 pH지속성에서도 지속적인 위산억제 효과를 보여 기존의 ‘위산분비억제제(PPIs)’들의 단점인 ‘야간산분비억제실패 (NAB, Nocturnal Acid Breakthrough)’에 탁월한 치료 효능을 가진다고 밝혔다. 식습관 변화로 꾸준히 증가하는 ‘위식도역류질환(GERD,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은 전세계 인구의 20% 이상이 겪는 질병이며, 대부분 환자들은 야간위산분비가 늘어나면서 수면 시 위산역류로 인한 가슴쓰림, 역류증상, 수면장애로 고통 받고 있다. 이에, 기존에 개발된 PPIs들은 이런 증상을 개선하지 못하였으나, “놀텍은 강력한 위내 pH 지속성으로 인하여 야간에도 편안히 잠들 수 있도록 한다”고 소개하고 있다. 이와 함께, PPI제제들이 간의 대사효소인 ‘CYP2C19’라는 효소에 의해 대사되는 반면, 놀텍은 비효소적으로 대부분 대사되고 일부가 ‘CYP3A4’를 통해 서서히 대사되어 약물의 상호작용 발생이 낮아 병용 처방에서도 문제가 없음을 시사해 주었다. 특히, 서양인과 달리 동양인은 ‘CYP2C19’유전형의 변이가 4배 가량 많으며(동양 20% vs 서양 5%), 이런 환자들이 ‘항혈소판제제’와 약물병용 시 갑작스런 약효감소로 ‘심근경색 / 허혈성심장질환’등을 일으키는데 놀텍은 이러한 변이형 유전자를 가진 환자가 복용해도 ‘약물상호작용’이 낮다고 논문을 통해 밝혔다. 논문 Conclusions을 통해 놀텍은 “현재 PPIs 가 가지고 있는 한계점을 극복한 유일한 3세대 PPI 이다”라고 전하고 “임상에서 나타난 향상 된 약리학적 효능ᆞ효과로 치료 환자의 야간산분비억제실패(NAB)를 현저히 줄이게 될 것”이라고 결론 내렸다.